김현석 멘토님
연산적인 요소가 없으면 js 로도 가능 하지만 모바일 - 호환성 문제가 있을 수 있어 모바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 유니티는 모바일 호환성 측면에서 괜찮음.
웹서비스 개발 취업 -> 서비스 규모가 있는 곳일 경우: 기대 역량 => "협업" , "커뮤니케이션 능력" <<<<<<< "코드의 협업" 코드의 스타일이 너무 다르거나 방식이 다르면 어려울 수 있다. 잘하냐 못하냐의 문제보다 회사의 코드방식에 빨리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.
다양하고 넓게 볼 수 있는 사람 여러 사람들이랑 협업해서 프로젝트를 완성했다. =>어필 부분
백엔드도 구성 부분을 신경쓰면 좋을 것 같다. 프로젝트를 위한 거냐 vs 취업을 위한 거냐였을 때 취업을 위한다면 다른사람이 코드를 보기 편하게 만드는 것이 우선이다.
구성을 쪼갤 때 컨텐츠나, 객체보다는 기능이나 유형별로 나누고 모듈화하는 것이 좋다.
추가로 현업에서 중요한 것은 업데이트나 유지보수가 중요 향후에 이 프로젝트에 유지보수나 업데이트 할 때를 고민을 해보면 개발과 취업에도 훨씬 좋게 적용될 듯
오해를 할 수있는 부분 - 코드 라인을 줄이는 경우 잘한다 ? no 이것보다는 조금더 효율적이고 확장성이 좋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. 프레임워크도 많이 활용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서버 프레임워크가 어떤 분야로 갈지에 따라 다름 분야별로 다른 것을 씀 구인공고 참고하기! 스프링 - 게임x 웹 기반 vs 모바일 기반 목표하는 바에 따라 프레임워크를 선택하기
게임 - 유니티 학습이 필수일지 ? 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트리노드 는 유니티가 필수
작년 - 하나만 잘하는사람 올해 - 개발자가 수가 줄었어 , ai 활용이 많아졌기 때문에 하나를 잘하는 사람보다는 여러가지를 다 잘하는 사람 조금 더 여러분야에 걸쳐있는 사람 물론 주력을 잘해야겠지만 서브기술도 더하기 트렌드 경제학 토핑 경제학과 같이 토핑인재가 되면 ai는 하나밖에 못하지만 나는 다양한 서브기술들을 토대로 메인을 더 잘할 수 있어!
다양한 pm이 있다. 신입도 pm 을 뽑기는 함. 개발 pm 은 모든 개발 분야를 뽑기 떄문에 개발 경험 있는 사람을 뽑으려 함
취업 후 트레이닝,